건강 정보방

‘비만은 질병’ 상업세력이 만든 거짓말

경성 성진 (鏡惺 聖眞) 2010. 2. 6. 23:08

 

 

 

 

 

 

책소개

비만은 과연 질병일까? 누군가 비만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있다!

비만에 대한 편견을 철저하게 파헤치는 건강서 『비만 히스테릭』.

 

우리는 ‘비만’을 질병으로 여기며, 비만과 과체중이 되지 않기 위해서 자신을 채찍질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과연 비만이란 질병이 존재하는 것일까?

 

운동생리학 박사인 저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체중과 비만 그리고 운동과 다이어트가 상당 부분 과학적 증거라는 가명으로 우리 사회에 잘못 알려져 있음을 지적한다.

 

또 의료계와 정부, 산업체가 비만의 위험성을 과대포장하고 왜곡하고 있는 현실을 구체적인 연구 사례를 들어 신랄하게 비판한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미국의학협회지에 의하면 체중과 상관없이,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인 집단은 평소에 가장 움직임이 적은 사람들로 나타났다고 한다.

또 일본의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저체중의 노인이 과체중의 노인보다 사망 위험이 4배나 높았다고 한다. 제약회사, 보험회사, 의학자, 영양학자들이 주장하는 비만의 기준과 심각성은 국가, 인종, 시대, 연령 그리고 개인차를 감안하지 않은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은 지나치게 비만에 대해 히스테릭한 반응 보이는 사회를 진단하고, 비만과 건강에 관해 조작된 진실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저자소개

저자 이대택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 체육교육학과 석사과정을 마쳤다.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 운동과학과(운동생리학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 연방 과학기술자문위원회 장학연구원(National Research Council Resident Research Associate), 미 연방 육군환경의학연구소 객원연구원(US Army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Research Fellow),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미국올림픽위원회 올림픽트레이닝센터 방문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국민대학교에서 체육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인간은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는가』 『저랑 우주여행 하실래요?』『인간사냥꾼은 물위를 달리고 싶어했다』 등이 있다.

 

 

출판사 서평

“누군가 비만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있다!!”
사람들의 사망률은 체중과 상관없으며,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인 집단은
평소에 가장 움직임이 적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났다.
_《미국의학협회지》중에서

“비만하다고 건강까지 비만한 것은 아니다!”
_ 왜곡과 과장으로 얼룩진 비만에 관한 오해와 진실


● 과체중과 비만은 정말 건강에 나쁠까?
● 신체질량지수(BMI)는 과연 인간의 건강을 평가하는 가장 유용한 지표일까?
● 인간의 수명은 날로 길어지고 있는데 비만 때문에 조기사망률이 높아진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일본의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저체중의 노인이 과체중의 노인보다 사망 위험이 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적당한 비만과 과체중은 오히려 사망률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런데 매일같이 쏟아지는 건강다이어트 정보에 보면,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각종 성인병 그리고 조기사망률의 주범을 ‘비만’으로 꼽는다.

명백히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는 ‘비만’은 현대사회의 문제점 중에서도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부 연구에 의해 비만이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그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만에 대해 지나치게 히스테릭한 사회의 목소리는 그다지 믿을 만한 것이 못 된다.

『비만 히스테릭』은 비만과 건강의 관계가 과대 포장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뚱뚱한 사람 가운데 생활습관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많았다는 사실은 단순관계에 불과하다.

그런데 마치 뚱뚱하기 때문에 생활습관병에 쉽게 걸린다는 듯 단순관계를 인과관계 심지어 상관관계로 확대해석하고 이를 일반인들에게 그대로 알리고 체중과 신장만으로 측정된 수치(BMI)를 건강의 지표인 양 맹신하게 만드는 사회 구조의 맹점을 비판한다.


비만이란 질병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생활습관병이 모두 비만에서 비롯됐다는 말은 잘못된 진실이다.

보험회사, 의학자, 제약회사, 영양학자가 주장하는 비만의 기준과 심각성은 국가, 인종, 시대, 연령, 그리고 개인차와 환경을 감안하지 않은 자료에서 비롯된 것이다.

 
『비만 히스테릭』은 지금껏 너무도 당연하게 여겨져 문제되지 않던 ‘비만에 관한 잘못된 진실과 고정관념’을 뒤엎는다.

저자는 사람의 사망률이나 건강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동일한 기준으로 다른 사람과 자신의 건강을 비교할 수 없음을 강조하며, 모두가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이상적인 체중이나 BMI 분류법은 없다는 것을 다양한 연구 사례를 통해 밝힌다.

또 체중 자체보다는 흡연이나 열악한 환경이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설명과 함께 건강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체중’이 아니라 ‘체력’임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알기 쉽게 설명한다.



과체중 때문에 죽는 것이 아니다!
_BMI 지수와 건강의 상관관계에 관한 해석의 오류


비만은 보험사, 의학 전문가, 피트니스 전문가, 과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시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치화되고 표현되어왔다.

게다가 체지방률은 인종에 민감한데 황인종, 흑인종, 백인종이 서로 다른 체지방량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 널리 알려진 체지방 측정법은 모두가 하나의 방법(BMI)에 따라 측정되고 있다.

또한 우리가 알고 있는 체지방률에 대한 자료는 모두 백인종을 근거로 한 것이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여전히 의학계나 제약업계, 다이어트식품업계는 이러한 사실에 개의치 않고 오직 BMI를 건강의 잣대인 양 강조하고 있다.


운동생리학을 전공하고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저자는 한동안 운동과 다이어트에 관한 칼럼을 썼다.

그런데 처음에는 어떻게 운동을 하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지, 건강을 위해서 어떻게 체중조절을 해야 하는지에 치중하여 글을 쓰던 중 비만과 관련된 수많은 자료를 접하면서 실제로 인간이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이어트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또한 체지방과 건강의 상관관계에 관한 맹점을 조사하면서, 왜곡되고 잘못된 비만의 역사가 어느 시대에 어떠한 계기로 시작되었는지부터 비만에 관한 잘못된 기준 설정과 왜곡된 진실들을 반드시 알려야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특히 비만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자료를 가지고 있는 미국의 사례를 예로 들며, 미국인의 3분의 2가 비만환자로 분류되어 있는 것과 관련해 BMI 측정법의 허점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이 밖에도 책에는 정말로 과다한 체지방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는 것인지, 비만이 미국인을 죽이는 가장 큰 원인이며, 실제로 비만으로 인해 수명이 빨리 단축되는 것인지, 현대 문명사회의 생활환경이 과체중을 일으키는 것인지 등 비만에 관한 다양한 의문점에서부터 우리가 알고 또 굳게 믿고 있는 비만과 건강에 관한 조작된 진실을 낱낱이 파헤친다.

 

책속으로

<본문> 중에서
비만이란 질병은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이 만들어낸 상상의 질병이다.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비만의 위험성이나 다이어트의 건강에 대한 유용성은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왜곡되어 있다.

그럼에도 우리가 이토록 비만에 대해 경계하고 체중감량에 목숨을 거는 이유는 다름 아닌 이와 연관된 이익집단들 때문이다.

우리는 사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

의료 산업과 제약 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입장에서의 이상적인 질병은, 그 질병에 시달리게 하면서도 죽지 않게 하고, 효과적으로 치료도 안 되며, 그러면서도 여하튼 의사나 환자가 이 병을 치료하고자 달려드는 그러한 것이다.

다행히도 미국의 건강관리 산업은 바로 이런 질병을 발견(오히려 창조)했다. 이 병은 ‘비만’이라 불린다.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인간, 건강, 비만
1. 생활습관병과 인간수명
2. 장수하는 현대인
3. 비만에 대한 해석 오류
4. 비만과 질병과의 진실된 관계
5. 체중에 대한 프래이밍햄 심장연구의 결론 변천

2부 비만의 위험성에 대한 논란
6. 위험한 몸무게의 탄생 역사
7. 신체질량지수의 등장
8. 과체중이 위험하다는 주장들
9. 과체중이 문제되지 않는다는 주장들
10. 체중이 문제라는 연구들의 문제점
11. 병력학 연구의 한계?

3부 비만 살찌우기
12. 비만이란 질병의 의료상품
13. 비만을 살찌우는 세력들
14. 비만 정치

4부 체중, 체지방, 체구성
15. 부정적 인식의 시작, 평균체중의 탄생
16. ‘평균’에서 ‘이상’으로, ‘이상’에서 ‘희망’으로
17. 구원투수로 등장한 신체질량지수
18. 비만 평가의 불안정성
19. 임의적으로 설정되는 비만 기준
20. 때와 장소에 따라 변하는 기준들
21. 체지방률의 설정
22. 체지방은 어떻게 측정되는가
23. 체지방에 대한 잘못된 해석
24. 체구성은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가

5부 효과 없이 위험하기만 한 다이어트
25. 불가능에 가까운 다이어트와 체중감소
26. 결국 체중을 더 늘리는 다이어트
27. 체중감소가 건강하게 한다는 거짓말

6부 움직임을 통해 얻어지는 체중과 건강
28. 운동과 신체활동
29. 체중조절을 위한 운동의 필요성 대두
30. 운동권장량의 등장과 변천
31. 운동에서 신체활동으로
32. 인간의 움직임량?
33. 신체활동량 정량화

7부 체중과 움직임
34. 움직임의 결과물인 체중
35. 커지는 체격, 떨어지는 체력
36. 청소년들의 건강 평가
37. 평가와 기록의 중요성
38. 대안적 평가 방안
39. 움직임을 유발하는 도시
40. 움직이는 습관

맺음말
인용문헌

 

 

 

           * 해인풍수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