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안선시(公案禪詩) 244

還鄕曲 환향곡 / 淸虛休靜(청허휴정)

還鄕曲 환향곡 / 淸虛休靜(청허휴정) 生來死去處 생래사거처 畢竟如何是 필경여하시 太虛本寂寥 태허본적요 脚下淸風起 각하청풍기 "고향에 돌아와 부르는 노래 태어날 때 오고 죽어서 가는 곳 마침내 (고향에 돌아왔는데) 이곳은 어떠한가? (이곳) 태허는 본디 적적하고 고요하구나 지금 다리 아래에 맑은 바람이 일어나네 * 解譯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還鄕 환향 고향으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어떤 고향 ~ 뒷 따라 오는 1연의"生來死去處생래사거처 태어날 때 오고 죽어서 가는 곳"인 본향(本鄕) ■ 還鄕曲 환향곡 고햠에 돌아와 부르는 노래 ~ 본향(本鄕)에 돌아와 부르는 노래로 " 일종의 오도송(悟道頌)"이라 볼 수 있다. ■ 畢竟 필경 1. 궁극. 지극. 절대. 비교될 것이 없는 최상의 상태. 2. 마침내,..

贈行脚禪子 증행각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贈行脚禪子 증행각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一生行脚漢 일생행각한 雙鬢白如絲 쌍빈백여사 笻短龍還泣 공단용환읍 舟沉釰亦悲 주침검역비 玄珠遺赤水 현주유적수 至寶晦春池 지보회춘지 何處是葱嶺 하처시총령 哀哀碧眼師 애애벽안사 °행각하는 선자에게 주다 한 평생을 행각하는 사나이 하얀 양쪽의 귀밑털이 실과 같구나 지팡이가 짧아졌으나 용이 도리어 울고 배에서 칼을 (떨어뜨려 강물에) 잠겼으나 (배에 칼자국을 내 표시하고) (나중에 찾으려 했으니) 또한 슬프구나 현주를 적수에 빠뜨리고 (왔다 하는데) 지극히 중요한 보배는 봄 못 속에 숨겨져 있다네 어느 곳이 총령인가? 매우 슬퍼하는 눈 푸른 스승이여! * 解譯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行脚 행각 불가의 선종(禪宗)에서 스님이 도(道)를 닦는 한 방편으로 여러 지..

天熙禪子 천희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天熙禪子 천희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塞外將軍令 새외장군령 政如衲僧家 정여납승가 釼衝龍虎陣 인충용호진 人血滿黃沙 인혈만황사 言前無的旨 언전무적지 句下絶追尋 구하절추심 惆悵知音少 추장지음소 長眠碧洞深 장면벽동심 °천희 선자에게 북방 요새를 밖으로 부터 (지키는) 장군의 군령 정사를 행하는 규칙은 납승의 집안도 같다네 칼 (들고) 용호진으로 향하면 사람의 피가 황사에 가득하다네 언어 이전의 참 도의 내용은 글귀 아래에서는 추적이 끊어져 끝난다네 근심스럽고 슬프구나 지음이 적으니 푸른 골짜기에 (몸울) 감추고 죽은 것처럼 긴잠을 잔다네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塞外 새외 1. 요새(要塞)의 밖. 2. 북방(北方)의 만리장성(萬里長城) 바깥. ■ 龍虎陣 용호진 용과 호랑이의 진 ~ 일..

次朴學官韻 차박학관운 / 淸虛休靜(청허휴정)

次朴學官韻 차박학관운 / 淸虛休靜(청허휴정) 一光無始亦無終 일광무시역무종 三敎名言枉費功 삼교명언왕비공 火裏開花非好手 화리개화비호수 虎頭生角豈神通 호두생각기신통 風雷起處銀山裂 풍뢰기처은산열 棒喝馳時鐵壁窮 방항치시철벽궁 天上人間徒縹緲 천상인간도표묘 少林曾坐獨扶宗 소림증좌독부종 °박 학관의 시에 차운하다 시작함도 없고 또 끝남도 없는 하나의 빛 삼교의 명언으로 (공부하는 것은) 헛 공부라네 불 속에 꽃 피움은 좋은 솜씨 아니요 범 머리에 뿔 돋게 함도 어찌 신통이겠는가 풍뢰 일어나는 곳에서 은산이 찢어지고 방과 할이 치달릴 때 철벽도 다한다네 천상과 인간 무리에겐 아득하고 어렴 풋하여 알 수 없으니 소림에 일찍부터 앉아 종단을 홀로 떠받쳤소.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一光無始亦無終 시작..

草堂咏栢 초당영백 / 淸虛休靜(청허휴정)

草堂咏栢 초당영백 / 淸虛休靜(청허휴정) 月圓不逾望 월원불유망 日中爲之傾 일중위지경 庭前栢樹子 정전백수자 獨也四時靑 독야사시청 °초당에서 잣나무를 읊다 둥근 달도 보름을 넘기지 못하고 중천 떠있는 해도 (서쪽으로) 기우러져서 가는데 뜰 앞의 잣나무는 홀로 사철 푸르구나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趙州因僧問。 如何是祖師西來意。 師曰。庭前柏樹子。 曰和尚莫將境示人。 師曰。我不將境示人。 曰如何是祖師西來意。 師曰。庭前柏樹子。 조주를 따르는 스님이 물었다.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은 무엇입니까?” 선사 말씀하시길 “뜰 앞에는 잣나무이니라.” “화상께서는 경계를 가지고 사람에게 보이지 마십시오.” 선사 말슴하시길 “나는 경계를 가지고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다.”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인지..

墻壁頌 장벽송 / 淸虛休靜(청허휴정)

墻壁頌 장벽송 / 淸虛休靜(청허휴정) 問爾禪和墻壁意 문이선화장벽의 非心非道是什麽 비심비도시심마 直須蜜蜜叅詳去 직수밀밀참상거 始息諸緣見達摩 시식제연견달마 너희 선화들에게 장벽의 뜻을 묻노니 마음도 아니고 도도 아닌 이것은 무엇인가? 결국 자세하고 자세하게 참상하여 없애야 비로서 모든 인연 쉬고서 달마를 보리로다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墻壁 장벽 담과 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무엇을 둘러싸 막고있는 어떤 장벽인가? 대광명(大光明)인 불성(佛性), 자성(自性)을 둘러싸 막고있는 암흑의 무명 덩어리인 검정색의 칠통(漆桶) 장벽인 이 칠통을 타파(打破)해야만 자성(自性)을 밝혀 자등명(自燈明)하는 것이다. ■ 禪和 선화 참선을 통해 불도를 깨달으려는 승려 ■ 直須 직수 1. 즉시[바로]..

群陰剝盡一陽生 군음박진일양생 / 冶父道川(야부도천)

無底鉢 무저발 / 冶父道川(야부도천) 群陰剝盡一陽生 군음박진일양생 草木園林盡發萌 초목원림진발맹 唯有衲僧無底鉢 유유납승무저발 依前盛飯又盛羹 의전성반우성갱 ​ °바닥없는 발우 ※ 일반해역 검게 뭉쳐진 것(칠통) 벗겨져 다하여 대광명이 나와 초목과 원림의 싹 틔우기를 다하게 하였다네 비록 납승에게 있는건 바닥없는 발우뿐이지만 여전히 밥도 담고 또 국도 담을 수 있다네 ※ 심층해역 칠통타파(漆桶打破)하여 자등명(自燈明)하여 일체중생들 모두 불성의 싹을 다 틔우게 하였다네 칠통타파(漆桶打破)하여 자등명(自燈明)하였지만 이전과 같이 밥도 먹고 국도 먹고 있다네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群 무리 군 1.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2. 떼 3. 모이다 ● 陰 그늘 음 1. 그늘, 응달 5...

贈玄昱禪和 증현욱선화 / 淸虛休靜(청허휴정)

贈玄昱禪和 증현욱선화 / 淸虛休靜(청허휴정) 平生欲奏沒絃琴 평생욕주몰현금 惆悵東西未遇音 추창동서미우음 闕里秋陽曾灸背 권리추양증구배 少林寒月更醒心 소림한월갱성심 坐松坐石忘天地 좌송좌석망천지 花落花開送古今 화락화개송고금 珠在澤中光在澤 주재택중광재택 豈隨狂醉拾華鍼 기수광취습화침 °현욱 선화에게 주다 평생 줄 없는 거문고를 연주하고 싶었지만 동서로 지음을 만나지 못해 근심스럽고 슬프구나 궐리의 가을 햇볕에 일찌기 등을 쬐었고 소림의 차가운 달빛에 더욱 마음을 깨달았도다 천지를 잊고 솔 (아래) 앉아 바위 (위에) 앉아 꽃 피고 꽃이 지는 고금을 보낸다네 구슬이 못 속에 있어 밝게 빛나는 빛이 못에 있는데 어찌하여 미치고 취한(놈) 따라 화침(허상)을 주우려 하는가?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贈楓岳山能長老 증풍악산능장로 / 淸虛休靜(청허휴정)

贈楓岳山能長老 증풍악산능장로 / 淸虛休靜(청허휴정) 竹風松月是相知 죽풍송월시상지 坐臥經行任意之 좌와경행임의지 覺滿如來差病客 각만여래차병객 行圓菩薩止啼兒 행원보살지제아 烹茶苦菜連根煮 팽다고채연근자 齋飯香蔬帶葉炊 재반향소대옆취 人問一生何事業 인간일생하사업 只這開眼展雙眉 지자개안전쌍미 °풍악산 능 장로에게 주다 대나무 바람 소나무 달 이들과 서로 알아 알아주는 사이이며 앉거나 눕거나 경행하거나 하고 싶은 대로 한다네 깨달음 가득한 여래(처럼) 병든 나그네 낫게 하고 행이 원만한 보살(처럼) 우는 아이 그치게 한다네. 뿌리 연결된(달린) 씀바귀를 구워(덖어) 차를 끓이고 취나물 밥은 띠(잔가지)와 잎을 불을 때워서 밥을 짓는다네. 인간 일생에서 어떤 일을 했는가? (묻는다면) 다만 깨닫고서 미소 짓고 있을 뿐이..

山堂靜夜坐無言 산당정야좌무언 / 冶父道川(야보도천)

金剛經(금강경) 莊嚴淨土分(장엄정토분)의 頌(송) / 冶父道川(야보도천) 山堂靜夜坐無言 산당정야좌무언 寂寂蓼蓼本自然 적적요요본자연 何事西風動林野 하사서풍동임야 一聲寒雁唳長天 일성한안려장천 고요한 밤 산당에 말없이 앉아 있음이 적적하고 요요한 본래 자연이거늘 무슨 일로 서풍은 숲과 들을 흔들어서 기러기를 떨게하여 (날아 오르게 하여) 높고 멀고 넓은 하늘에서 한 소리 울게 하는가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이 頌(송)의 核心(핵심)은 "應無所住 以生其心 응무소주 이생기심"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낸다."이다. ● 坐 앉을 좌 1. 앉다 2. 지키다. 3. 머무르다. ■ 寂寂 적적 1. 괴괴하고 조용함. 2. 외롭고 쓸쓸함. ● 蓼 여뀌 료(요) 1. 여뀌 . 마디풀 과의 한해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