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관계글

관음수행(觀音修行)

경성 성진 (鏡惺 聖眞) 2015. 4. 2. 10:14

 

 

 

 

 

관음수행(觀音修行)

 

소리(音)에 관한 수행방법으론

참선(參禪) 등 명상(瞑想)을 통하여 합일을 이루는

라자 요가 (Raja Yoga)와

주문(呪文) 즉, 성주를 통하여 합일을 이루는

만트라 요가 (Mantra Yoga)

두가지의 방법이 있을 수 있는 바

 

 

관음(觀音)이란

소리(音)를 관(觀)한다는 뜻으로

자아(自我)의 내면(內面)의 소리를 관함으로

라자 요가 (Raja Yoga)의 한 방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차크라 그림 안 빨간색 글은 그 차크라 고유의 파동음이고,

그 옆 차크라 사이 파란색 글은 차크라 통과음입니다.

 

그러므로, 명상에 깊이 들어가면

각 차크라 부위에 그 차크라 모양의 연꽃문양이 보이든지,

각 차크라 고유의 파동음혹은 통과음이 들리는데,

차크라고유의 파동음 훔~메~반~니~마~옴

통과음 귀투라미~방울~종~플루트~소울음소리

- (내면의 빛과 소리를 관함)

 

차크라는 하위차크라가 개발되면서 상위차크라로 진행하므로

수행정도에 따라 개발되는 차크라가 다름으로써

뇌에서 분비되는 주 호르몬이 다름으로 추구하는 욕망등이 다름으로

이 차크라는 호르몬 제어(制御)에 의한

'인간(人間) 진화(進化)의 메커니즘'을 보여 주는 핵심(核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자신의 가슴부위에 핀 12개의 연꽃잎을 보거나,

내면에 들리는 최후의 음이 종소리라면 중단전이 개발되고 있는 중이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불교나 도교나 수행방법은 다르지만

공부의 끝은 결국은 파동음 "옴"을 의미하는 "소울음소리"로 귀결되는데

이는 신의 관문"상단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진흙소의 울음 (泥牛吼)을 관하고

이를 일도양단하여 칠통을 타파하여야만 

도관(道觀)할 것입니다.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의 

옴-마-니-만-메-훔

각 차크라 고유의 파동음을 직

접 만트라 파동으로써 때려줌으로써

각 차크라를 직접 개발시켜주는

비밀스런 수행의 지름길을 보여주는

밀교(密敎) 만트라 요가의 최고봉이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 윗글의 내용을 인용시에는 최초의 이론전개이므로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