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鵷鶵過海啚 제원추과해도
/ 淸虛休靜(청허휴정)
緱山曾下聽簫韶 구산증하청소소
誤落江村燕雀驕 오락강촌연작교
豈與老鴟爭腐鼠 기여노치쟁부서
飄然高擧返雲霄 표연고거반운서
°원추가 바다를 건너는 그림에 제하다
구산에 일찍 내려와서 소소를 들으려 했는데
강촌에 잘못 떨어지니 연작이 교만을 떠네
어찌 늙은 올빼미와 썩은 쥐를 다투리오
표연히 높이 날아 올라 다시 구름 낀 하늘 (위로)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원추(鵷鶵) 내용 출처(出處)
*장자(莊子) 외편(外篇) 추수(秋水) 中
惠子相梁,莊子往見之。
或謂惠子曰
莊子來,欲代子相。
於是惠子恐,搜於國中三日三夜。
莊子往見之 曰
南方有鳥,其名為鵷鶵,子知之乎
夫鵷鶵發於南海而飛於北海,
非梧桐不止
非練實不食
非醴泉不飲。
於是鴟得腐鼠,
鵷鶵過之,
仰而視之曰 嚇
今子欲以子之梁國而嚇我邪
혜자가 양나라의 재상이 되었는데
장자가 가서 만나 보려 하였다.
어떤 사람이 혜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장자가 와서 당신을 대신해서 재상이 되려할 것입니다.”
이에 혜자가 두려워서 나라를 사흘 밤낮 동안 수색하였다.
장자가 찾아가서 그를 보고 말했다.
“남방에 새가 있는데 그 이름이 원추라고 하는데
자네는 알고 있는가?
이 원추는 멀리 남쪽 바다에서 날아올라
북쪽 바다로 날아가는데,
오동나무가 아니면 머물지 않고,
연실이 아니면 먹지 않고,
예천이 아니면 마시지 않는다네.
(원추가 지나는) 그때 올빼미가 썩은 쥐 한 마리를 얻었는데,
(썩은 쥐를 빼앗길까 두려워)
위를 보고 꽥 하고 소리를 질렀다 하더구만.
지금 그대는 양나라 재상자리 가지고 나에게 꽥 소리 지르는가?”
□ 練實 연실
~ 죽실(竹實) - 대나무 열매
□ 醴泉 예천
= 甘露泉(감로천)
■ 過海 과해
바다를 건너다.
°어디를?
南海而飛於北海
남쪽 바다에서 날아올라 북쪽 바다로 날아감
■ 緱山 구산
왕자교라는 사람은 주영왕의 태자 진이다.
생황을 즐겨 불었고 봉황의 울음소리를 낼 줄 알았는데
이천과 낙수 사이에서 노닐었다.
도사 부구공이 데리고 숭고산엘 올랐다.
30여년 후 그를 산위에서 찾아냈는데
환량이라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나의 집에 알려라. 7월7일날
나를 구씨산의 정상에서 기다리라고.”하였다.
그 때가 되자 과연 백학을 타고 산꼭대기에 내렸으나
멀리서나 볼 수 있을 뿐 가까이 갈 수는 없었다.
(왕자교는) 손을 들어 그 때 모인 사람들에게 인사를 하고
며칠 있다가 떠나갔다.
(사람들은) 구씨산 기슭과 숭고산 꼭대기에
그를 위한 사당을 세웠다.
王子喬者, 周靈王太子晉也.
好吹笙作鳳凰鳴, 遊伊洛之間.
道士浮邱公, 接以上嵩高山.
三十 餘年後, 求之於山上. 見桓良曰,
告我家, 七月七日待我於緱氏山巓.
至時, 果乘白鶴, 駐山頭.
望之不得到, 擧手謝時人, 數日而去.
亦立祀於緱氏山下及嵩高首焉.
※ 구산(緱山) 내용 출처(出處)
* 列仙傳(열선전) 王子喬(왕자교)
■ 簫韶 소소
순 임금의 음악 이름
簫韶九成 鳳凰來儀 소소구성 봉황래상
“소소를 아홉 번 연주하자, 봉황이 와서 춤을 추었다.”
※ 소소(簫韶) 내용 출처(出處
* 서경(書經) 大禹謨 「익직(益稷)」
¤ 緱山曾下聽簫韶 구산증하청소소
구산에 일찍 내려와서 소소를 들으려 했는데
~ 원추가 남쪽 바다에서 날아올라 북쪽 바다로 날아가다가
■ 燕雀 연작
제비와 참새
◇ 고사성어
"연작이 어찌 봉황의 뜻을 알리오"
■ 飄然 표연
1. 바람에 가볍게 팔랑 나부끼는 모양(模樣).
2. 훌쩍 나타나거나 떠나가는 모양(模樣).
■ 雲霄 운소
구름 낀 하늘
'선시(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寄湖仙 기호선 / 淸虛休靜(청허휴정) (0) | 2022.10.06 |
---|---|
偶吟 우음 / 淸虛休靜(청허휴정) (0) | 2022.10.05 |
上滄海 상창해 / 淸虛休靜(청허휴정) (0) | 2022.10.03 |
贈行脚人 증행각인 / 淸虛休靜(청허휴정) (0) | 2022.10.01 |
仙人峯 선인봉 / 淸虛休靜(청허휴정)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