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시(禪詩)

우후송만(雨後松巒) / 혜심(慧諶)

경성 성진 (鏡惺 聖眞) 2015. 6. 23. 17:35

 

 

 

 

 

우후송만(雨後松巒)

    - 비온 뒤 소나무 봉우리

         / 혜심(慧諶)


 


雨霽冷出浴(우제냉출욕)


嵐凝翠欲滴(람응취욕적)


熟瞪發情吟(숙징발정음)


渾身化寒碧(혼신화한벽) 

 

시원한 비 개자 목욕하여 드러나고                   


푸른안개 엉기어 물망울 맺혀 떨어진다                                                                                                      
 

유심히 바라보니 실상의 음 내니


온 몸이 진리의 몸으로 되어진다

 

         * 解譯 : 鏡惺 聖眞

 

 

 

물방울 

방울져 떨어지다.

 <杜甫> 
악수루재적

 

5.

익히. 곰곰히. 유심히.

 <史記> 
관장군숙시소왈
심사숙고

 

 

 5.

본성().

 <呂覽> 
차지위순정
6.

정성. 진심().

 <淮南子> 
부대기정
7.

실정(). 실상().

 <孟子> 
성문과정 군자치지
8.

사리(). 진리.

 <呂覽> 
칙득교지정

 

, 물고기뛸

6.

내다. .

 <禮記> 

 

* 情吟(정음)을 '정다운 노래'가 아닌

  "실상의 음" 또는 "진리의 음"으로 解譯(해역)

* 寒碧(한벽)을 '차가운 푸르름'이 아닌

  "진리의 몸"으로 解譯하고자 합니다.

 

寒碧 = 寒光 = 眞我 = 自性 = 心月 = 神光 = 法身

 

寒光無際與誰談(한광무제여수담) : 豫章宗鏡

滿月寒光(만월한광) : 懶翁和尙

園樹寒光歷歷生(원수한광력력생) : 萬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