蓬萊草堂(봉래초당)
/ 淸虛休靜(청허휴정)
處處開花遠近迷 처처개화원근미
幾多紅雨落前溪 기다홍우낙전계
黃庭讀罷一回首 황정독파일회수
八萬峯頭月欲低 팔만봉두월욕저
곳곳에 꽃이 피어 원근을 헷갈리게 하고있는데
얼마나 많은 붉은 (꽃)비가 앞 시내에 내렸을까
"황정경" 읽기를 마치고 머리 한번 돌리니
팔만 봉우리에 달이 지려 하네
~ 4연 일반해역
팔만대장경의 제일 높은 곳에 있는 (진리인) 달빛인 (불성이)
(도교의 진리와 다르지 않아) 낮아지려 하고 있구나
~ 4연 심층해역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蓬萊 봉래
= 蓬萊山 봉래산
○ 요약 중국의 전설상의 산.
《사기(史記)》의 <봉선서(封禪書)>에 따르면,
영주산(瀛州山) ·방장산(方丈山)과 더불어 보하이[渤海]
해상에 있었다고 전하며,
세 산을 함께 3신산으로 부르는데,
그곳에 선인(仙人)이 살며 불사(不死)의 영약(靈藥)이
거기에 있다고 한다.
또한 그곳에서 사는 새와 짐승은 모두 빛깔이 희고,
금 ·은으로 지은 궁전이 있어,
멀리서 바라보면 구름같이 보이며,
가까이 다가가 보면 물밑에 있는 것을 알게 되는데,
배는 바람에 이끌려 도저히 그곳에 다다를 수가 없다고 한다.
남안의 산둥반도[山東半島]에 있던
고대국가 제(齊)나라에는 그 3신산을 신앙하여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런 신앙이 같은 제나라의 사상가
추연(鄒衍)의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결부되어
신선사상의 바탕을 이루게 되었고,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는 서불(徐市)로 하여금
3신산에서 불로불사(不老不死)의 약을 구해오게 하였다.
한편, 그같은 신선사상을 수반한 봉래산의 호칭은
한국에도 전래되어,
민간신앙과 무속(巫俗) 등에 깊이 침투함으로써
추상 또는 고유명사로 널리 쓰이고 있다.
봉래산이 여름의 금강산을 일컫는 호칭으로 쓰이고
있는 것도 그 한 예이다.
~ 윗글 출처 두산백과
處處開花遠近迷 처처개화원근미
幾多紅雨落前溪 기다홍우락전계
곳곳에 꽃이 피어 원근을 헷갈리게 하고있는데
얼마나 많은 붉은 (꽃)비가 앞 시내에 내렸을까
° 왜?
~ 뒷 따라오는 3연에 사유 설명
黃庭讀罷 황정독파
~ 황정경 읽기를 마치시기 위하여 몰입하심
■ 黃庭 황정
= 黃庭經 황정경
○요약 중국 위·진(魏晉) 시대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의 원리를 가르치고
기술하는 데 사용했던 도교 관계 서적.
원래 명칭은 〈태상황정외경옥경 太上黃庭外景玉經〉
·〈태상황정내경옥경 太上黃庭內景玉經〉이다.
그밖에 후서로 〈태상황정중경경 太上黃庭中景經〉이 있다.
일반적으로 〈중경경〉은 〈황정경〉에 포함되지 않는다.
〈황정경〉은 〈포박자 抱朴子〉 하람(遐覽)편에
이미 저록되어 있으며
7언가결(七言歌訣) 형식으로 씌어진 초기 도교 경전이다.
황정(黃庭)은 인간의 성(性)과 명(命)의
근본을 가리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뇌(上黃庭)·심장(中黃庭)·비장(下黃庭)
등을 말한다.
양생과 수련의 요지는
명리(名利)를 탐내는 마음이 없는 담박한 상태(恬淡)와
무욕(無欲), 허무자연(虛無自然)에 이르는 데 있다.
또한 거기에 이르는 방법은
기욕(嗜慾)을 단절시키고 호흡을 조절하며
수진(漱津 : 타액을 삼키는 것)하고
신성을 길러, 정(精)·기(氣)·신(神)을
'황정'에 응집시키는 것이다.
〈내경경 內景經〉 36장과 〈외경경 外景經〉은
내용면에서 비슷한 부분이 많다.
〈황정경〉의 주해서는 많은 편이며
그중 양구자(粱邱子)와 무성자(務成子)의 영향이 비교적 크다.
~ 윗글 출처 다음백과
● 峯 봉우리 봉
자원(字源)
회의문자
峯자는 ‘봉우리’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峯자는 山(뫼 산)자와 夆(끌 봉)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夆자는 ‘이끌다’라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단순히 사람이 계단을 오르는 모습으로 응용되었다.
이렇게 계단을 오르는 모습에 山자가 더해진 峯자는
사람이 산을 오르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참고로 峯자는 山자가 좌측에 있는 峰자도 있는데,
글자의 위치만 다를 뿐 같은 뜻이 있다.
~ 수행을 하여 (진리의) 봉우리 끝에 올라감의 비유 표현
금강산의 봉우리수는 일만이천봉인데
왜 팔만봉우리로 표현하셨는가?
~ 팔만대장경으로 상징대는 불교의 진리를
비유 표현하시기 위함
● 月 달 월
= 心月(光), 佛(光), 自性(光), 본래면목, 진여, 진아
불교의 심우도(尋牛圖)가 도교의 팔우도(八牛圖)에서
유래했음도 참조할 만한 사항임
● 低 낮을 저
1. (높이, 온도 등이)낮다
2. (값이)싸다
3. (머리를)숙이다
4. 약하다(弱--)
5. 구부리다
6. 머무르다
'선시(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流景(풍류경)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20.07.05 |
---|---|
送鑑禪子之雲遊 송감선자지운유 / 淸虛休靜(청허휴정) (0) | 2020.06.25 |
贈無相居士(증무상거사) / 淸虛休靜(청허휴정) (0) | 2020.06.05 |
有感(유감) / 鏡虛聖牛(경허성우) (0) | 2020.05.30 |
觀釣魚(관조어)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2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