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 / 원효대사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 / 원효대사 若依法界始遊行者(약의법계시유행자) 於四威儀無一唐遊(어사위의무일당유) 念諸佛不思議德(염제불부사의덕) 常思實相朽銷業障(사실상후소업장) 普爲六道無邊衆生(보위육도무변중생) 歸命十方無量諸佛(귀명시방무량제불) 諸佛不異而亦非一(제불불이역비일.. 수행 관계글 2010.06.27
함양과 체찰 유교의 핵심 덕목인 함양과 체찰의 번득이는 가르침! 500년의 시간을 넘어서도 발휘되는 위대한 마음공부법! '함양'이란 능력이나 품성을 기르고 닦는다는 뜻이며 '체찰'은 몸소 자세히 살펴봄을 뜻하는 말이다. "'함양'은 내면을 닦는 것이고 '체찰'은 마음으로 닦은 것을 몸으로 직접 살피는 일" 이‘.. 수행 관계글 2010.06.24
춘야연도이원서(春夜宴桃李園序) /이태백(李太白) 춘야연도이원서(春夜宴桃李園序) / 이태백(李太白) 夫天地者(부천지자)는 萬物之逆旅(만물지역려)요 光陰者(광음자)는 百代之過客(백대지과객)이라 而浮生若夢(이부생약몽)하니 爲歡樂幾何(위환락기하)오 古人秉燭夜遊(고인병촉야유)는 良有以也(양유이야)로다 況陽春召我以煙景(황양춘소아이연경.. 명언 좋은글 2010.06.21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Justice)를 정의(Define)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실제로 우리 삶은 옳고 그름에 관한 이견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정의론과 도덕철학의 대가인 저자는 자유민주사회라면 피할 수 없는 정의와 부정, 개인의 자유와 공동선 등 문제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 흥미롭게 분석한다. 일단 샌.. 명언 좋은글 2010.05.29
수신십훈(修身十訓) / 이황 수신십훈(修身十訓) / (퇴계) 이황 1.입지 (立志) 立志 當以 聖賢 自期 不可 存毫髮 退託之念 입지 당이 성현 자기 불가 존호발 퇴탁지념 뜻을 세움에는마땅히 성현을 목표로하고 털끝만큼이라도 못났다는 생각을 해서는 안된다. 2.경신 (敬身) 敬身 堂以 九容自持 不可 有斯須放倒之容 경신 당이 구용자.. 수행 관계글 2010.05.25
'구용(九容)'과 ‘구사(九思)’ '구용(九容)'과 ‘구사(九思)’ 구용(九容)은 예기(禮記)에 나오는 바른 몸가짐에 대한 아홉 가지 가르침이며 구사(九思)란 논어(論語)에 나오는 바른 마음가짐에 대한 아홉 가지 규범으로써 예절을 배우는 소학(小學)이나 율곡(栗谷)선생의 격몽요결 (擊蒙要訣)에도 소개되어있습니다. 격몽요결 제3장 .. 수행 관계글 2010.05.24
생명의 축제 / 청화 생명의 축제 오늘 부처님 오신 날은, 천상천하의 모든 어두운 무명을 밝히는 진리의 날이요, 우리 중생들이 인생고를 벗어나서 진정한 해탈과 자유를 누리는 영원한 생명의 축제입니다. 이 거룩한 날에 산승(山僧)들이 IBS 대학의 존경하는 교수님들과 친애하는 학생들과 자리를 함께한 인연에 대하여 .. 명언 좋은글 2010.05.21
[스크랩] 만병통치- 보화탕(保和湯). 보화탕(保和湯) 옛날에 유명한 의학자이신 ‘구선자(九仙子)라는 분이 계셨다. 하루는 나이 40 정도의 환자가 찾아왔다. 증상이 이러했다. “온몸에 기운이 다 빠져 나가고 일할 의욕이 없어지며 온몸이 갑갑하며 목이 꽉 막히는 것 같고 가슴이 답답하고 기가 부대껴 헛배가 부르고 팔다리가 뒤틀리며.. 명언 좋은글 2010.05.10
[스크랩] 머위의 놀라운 효능 머위의 놀라운 효능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 새롭게 각광, 등푸른 생선과 함께 요리하면 식중독 예방 머위는 겨울을 이기고 꽃을 피운다고 해서 관동화(款冬花)로 불린다. 머위는 봄철 식단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봄나물이다. 양념된장과 함께 쌈을 해먹어도 맛있고 들깨가루와 함께 탕을 해먹.. 건강 정보방 2010.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