偶吟(우음)
/ 鏡虛惺牛(경허성우)
那山幽寂處 나산유적처
寄我枕雲眠 기아침운면
如得其中趣 여득기중취
防狂十路前
방광십로전
¤ 일반해역
어느 산의 그윽하고 고요한 곳에서
구름을 베고 기대어 내가 잠들까
만일 그 가운데 뜻을
얻으면
네거리에서 미친 듯이 살아가리라
¤ 심층해역
어느 검은색 산소 (모습의) 적막한 곳
내(안에서) (자성)
가로막은 칠통 보이는 (곳) 이르러
만일 그것(칠통) (타파하여) 속 내용을 깨달으면
미친 짓 못하니 일체가 도의에 (맞아)
나아가리라
* 解譯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那山幽寂處 나산유적처
¤ 일반해역
어느 산의
그윽하고 고요한 곳에서
¤ 심층해역
어느 검은색 산소 (모습의) 적막한 곳
~ 이 곳이 바로 2연의 곳임
● 那
어찌 나, 어조사 내
5. 어느
6. 어떤
■ 山幽 산유
¤ 일반해역
산의 그윽한 (곳)
¤
심층해역
검은색 산소 (모습)
● 山 뫼 산
1. 메(산(山)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뫼
3. 무덤,
분묘(墳墓)
~ 산(처럼 볼록) = 산소(山所)
° 무엇을 묘사?
~ 칠통(漆桶)의 생김새 묘사
● 幽 그윽할
유 검을 유
1. 그윽하다
2. 멀다, 아득하다
8. 검다
13. 검은 빛
~ 검은색인 칠통(漆桶)을 비유
漆桶
= 泥牛 泥丸 상단전 질그릇 여의주
2연의 雲과 같은 것
● 寂 고요할 적
1. 고요하다, 조용하다
2. 쓸쓸하다,
적막하다(寂寞--)
■ 寄我枕雲眠 기아침운면
¤ 일반해역
구름을 베고 기대어 내가 잠들까
¤
심층해역
내(안에서) (자성) 가로막은 칠통 보이는 곳에 이르러
● 寄 부칠 기
4. 기대다,
의지하다(依支--)
2.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 我 나 아
1. 나
2.
나의
● 枕 베개 침
4. (베개를)베다
6. 가로막다, 방해하다(妨害--)
° 무엇을 가로막나?
~
자성(自性) 불성(佛性)
° 무엇이 가로막나?
~ 山 雲으로 비유되는 칠통(漆桶)
● 雲 구름 운
자성 비유하는
태양을 가로막는 구름인 칠통을 비유
● 眠 잘 면, 볼 민
1. (잠)자다
2. (누워서)쉬다,
휴식하다(休息--)
a. 보다 (민)
° 무엇을 보나?
자성을 가로막는 구름으로 비유되는 칠통
■ 如得其中趣
여득기중취
¤ 일반해역
만일 그 가운데 뜻을 얻으면
¤ 심층해역
만일 그것(칠통) (타파하여) 속 내용을
깨달으면
● 如 같을 여, 말 이을 이
10. 가령(假令), 만일(萬一)
● 得 얻을 득
1.
얻다
5. 깨닫다 앎
吾聞得之矣 淮南子
오문득지의
攄得
터득
● 其그 기
1.
그, 그것
° 어떤 것(곳)?
1~ 2 연의 것(곳)
山 雲으로 비유되는 칠통(漆桶)
● 中 가운데 중
1.
가운데
2. 안, 속
° 어느 속?
~ 칠통 속
● 趣 뜻 취, 재촉할 촉
1. 뜻
2. 취지(趣旨),
내용(內容)
° 어떤 내용?
~ 칠통 속 내용
곧 자성(自性) 불성(佛性)
■ 防狂十路前 방광십로전
¤
일반해역
네거리에서 미친 듯이 살아가리라
¤ 심층해역
미친 짓 못하니 일체가 도의에 (맞게) 나아가리라
● 防 막을
방
7. 경계(境界).
1. 막다, 방어하다(防禦--)
말리다. 금(禁)함.
又敢與知防 禮記
우감여지방
° 무슨 짓을 말리거나 금(禁)하나?
~ 바로 다음 말인 狂(미칠 광) 짓
● 狂 미칠 광, 개 달릴
곽
1. 미치다(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다르게 되다)
2. 미치광이.
6. 오만 무례(傲慢無禮)하다.
10. 어리석음.
또는, 그 사람.
◇ 十路前 십로전
¤ 일반해역
十路(네거리) 前(앞)
~ 유동인구가 많은 네거리 앞
현재의 광화문 광장 등을 비유
¤ 심층해역
일체가 도의에 (맞아) 나아가리라
● 十 열 십
1. 열
4. 전부(全部), 일체(一切), 완전(完全)
● 路 길
로
1. 길, 통행(通行), 도로(道路)
2. 도리(道理), 도의(道義)
● 前 앞 전
1. 앞
2.
먼저
3. 나아가다.
그렇군요 선사님!
선사님 말씀을 듣자오니
자성(自性)을 밝히어 자등명(自燈明) 한
사람
미친 짓 못하니 일체가 도의에 (맞아) 나아가겠군요
선사님 또한 이런 계율을 지니고 지내셨군요.
이렇게 엄정하고 곧 바른
계율을 지니신 선사님을
누가 파계를 일삼는 취광승(醉狂僧)이라 하겠습니까?
또, 어느 누가 감히 선사님 심중을
헤아리겠습니까?
다 본인들의 안목이요 경계이겠지요.
선사님을 시봉하신던 만공(滿空)선사님께서
“제가 만일 경허 큰 스님을
모시고 깊은 산속에 살다가
양식이 떨어져 공양 올릴 것이 없게 된다면,
저는 기꺼이 제 살점을 점점이 오려서라도
스님을 봉양할
각오입니다.” 라고 말씀하셨다던데
처음 그 말씀 대했을 때는 좀 오버하셨나 하였으나
왜 이런 말씀을 하셨나 이제는 대충이나마
알겠습니다
선사님 말씀하신 내용의 진의(眞意)가
전도(顚倒) 내지 오도(誤導)되어
알맹이는 간데 없고 쭉정이만 남아
나부끼고 있는 작금
글도 부족하고 득심처(得心處)도 없는 후학 저 聖眞
붓을 들어 선사님 심중을 더욱 어지럽히고 있으니
그
죄업은 태산을 덮고도 남을 것입니다.
이제 빛이 되게 하소서!
※ 관세음보살 멸업장진언(觀世音菩薩
滅業障眞言)
옴 아로륵계 사바하
'공안선시(公案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偶吟(우음) 青松白石上 청송백석상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16.07.31 |
---|---|
偶吟(우음) 鐵樹花開一 철수화개일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16.07.29 |
偶吟(우음) 低頭常睡眠 저두상수면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16.07.27 |
偶吟(우음) 無事猶成事 무사유성사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16.07.26 |
偶吟(우음) 斜陽空寺裡 사양공사리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16.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