過佛明山尹弼庵 과불명산윤필암
/ 鏡虛惺牛(경허성우)
酒或放光色復然 주혹방광색부연
貪嗔煩惱送驢年 탐진번뇌송여년
仗屨無端化獅子 장구무단화사자
等閑一踢孰能前 등한일척숙능전
°불명산 윤필암을 지나며
술(먹어도) 늘 방광하고 색(하고도) 다시 그러하니
탐진(치) 번뇌는 나귀(잊은) 해에 보냈노라
중인 (내가) 지팡이 (짚고) 신 (신고) (가는) 발자취가
까닭 없이 사자(부처님ㆍ발자취)로 되었으니
등한히 한번 차면 누가 감히 (내) 앞에서 (대적)하겠는가?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或 혹시 혹
1. 혹(或), 혹은(或-: 그렇지 아니하면),
혹시(或是: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에)
2. 또
3. 어떤 경우(境遇)에는
4. 어떤 이
5. 어떤 것
6. 있다, 존재하다(存在--)
7. 늘. 항상.
或不盈 老子
혹불영
■ 放光 방광
1. 빛살을 내쏨.
2. 부처가 광명의 빛을 냄
■ 驢年 려(여)년
나귀 해
~ (12지에) 없는 해
잊은지 오래되어 기억 조차 없는 해
■ 仗屨 장구
지팡이와 신
= 杖屨 장구
1. 지팡이와 신
2. 이름난 사람이 머무른 자취를 이르는 말.
3. 도사(道士)나 중을 가리키는 말로도 씀
~ 지팡이 (짚고) 신 (신고) 가는 발자취
■ 無端 무단
까닭 없이
● 端 바를 단, 끝 단, 헐떡일 천, 홀 전
1. 끝
2. 가, 한계(限界)
3. 처음, 시초(始初)
5. 실마리, 일의 단서(端緖)
6. 까닭, 원인(原因)
7. 바르다
■ 獅子 사자
1. 사자
2. 부처님 비유 표현
◇獅子吼 사자후
부처님 설법
◇獅子座 사자좌
부처님이 앉으시는 자리
● 化 될 화, 잘못 와
1. 되다, 화하다(化--)
2. 교화하다(敎化--), 감화시키다(感化---)
3. 가르치다
4. 따르다, 본받다
5. 변천하다(變遷--), 달라지다
■ 等閑 등한
1. 대수롭지 않게 여겨 내버려 둠.
2. 마음에 두지 않고 예사(例事)로 여김.
● 踢 찰 척
1. 차다
2. 발로 차다
■ 孰能 숙능
누가 감(敢)히 할 수 있겠는가
경허선사님의 내적 자부심(自負心)이
잘 표현되어 있는 게송으로
논란(論難)이 있을 법한 1연 -
종교적 관점에서 계율(戒律)을 벗어난 것으로 보이는
"酒或放光色復然 주혹방광색부연
술(먹어도) 늘 방광하고 색(하고도) 다시 그러하니"은
경허선사님의 경지(境地)에 도달하기 전에는
함부로 논(論)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입니다.
내용에도 나와 있지만
자성(自性)을 밝힌 자등명(自燈明)한 경지에서는
술(酒)과 색(色)을 함께해도 늘 방광(放光)하고 있지만
같은 행위(行爲)라 하더라도
자등명(自燈明)하지 못한 중생(衆生)들의 행위는
계율(戒律)을 벗어난 업인(業因)이 되기 때문입니다.
천수경에 다음과 같은 게송이 있습니다.
죄무자성종심기(罪無自性從心起)
심약멸시죄역망(心若滅時罪亦忘)
죄망심멸양구공(罪忘心滅兩俱空)
시즉명위진참회(是卽名謂眞懺悔)
죄에는 자성이 없고 마음을 따라 일어나니
마음이 만약 멸할 때는 죄 역시 다한다네
죄 다하고 마음이 멸하여 둘이 함께 공하면
이것을 이름하여 진참회라 한다네
ㆍ진참회(眞懺悔)란
자성(自性)을 밝혀 자등명(自燈明)하는 것입니다
'공안선시(公案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施門開無擁塞 대시문개무옹색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21.07.29 |
---|---|
佛與衆生吾不識 불여중생오불식 / 鏡虛惺牛(경허성우) (0) | 2021.07.24 |
自天 자천 / 太古普愚(태고보우) (0) | 2021.07.21 |
敬次芙蓉尊宿韻 경차부용존숙운 / 淸虛休靜(청허휴정) (0) | 2021.07.19 |
何住 하주 / 太古普愚(태고보우) (0) | 2021.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