浣溪沙(완계사) / 韋莊(위장) 浣溪沙(완계사) / 韋莊(위장) 夜夜相思更漏殘 (야야상사경루잔) 傷心明月憑闌干 (상심명월빙난간) 想君思我錦衾寒 (상군사아금금한) 咫尺畵堂深似海 (지척화당심사해) 憶來唯把舊書看 (억래유파구서간) 幾時携手入長安 (기시휴수입장안) 밤마다 그리움에(잠 못들어)물시계 물 남아있.. 명언 좋은글 2015.07.18
贈行脚僧 행각하는 스님에게 / 枕肱懸辯(침굉현변) 贈行脚僧 행각하는 스님에게 / 枕肱懸辯(침굉현변) 爾也年逾四十籌 이야년유사십수 飽叅知識遍南州 포참지식편남주 西來妙旨何煩問 서래묘지하번문 雲盡秋空月似鈎 운진추공월사구 그대는 나이가 마흔이 넘도록 남방의 많은 선지식 족히 찾아뵈었지요 서쪽에서 온 묘한 뜻 어.. 선시(禪詩) 2015.07.18
示學珠禪子 / 逍遙太能(소요태능) 示學珠禪子 학주(學珠) 선자(禪子)에게 보임 / 逍遙太能(소요태능) 背角泥牛不擧鞭 배각니우불거편 翻身踏破碧潭烟 번신답파벽담인 一聲哮吼驚天地 일성효후경천지 掣電之機鼻孔穿 체전지기비공천 채찍을 들지 않아도 등에 뿔이 난 진흙소가 번신하여그을린 벽담을 깨부수고 .. 선시(禪詩) 2015.07.18
戲題 (희제) /운초(雲楚) 戲 題 (희제) / 운초(雲楚) 芙蓉花發滿池紅 (부용화발만지홍) 人道芙蓉勝妾容 (인도부용승첩용) 朝日妾從堤上過 (조일첩종제상과) 如何人不看芙蓉 (여하인불간부용) 연꽃이 연못 가득 붉게 피어올라 사람들이 내 얼굴보다 연꽃이 예쁘다 말하는데 아침에 소첩이 둑방 위를 지나가면 .. 명언 좋은글 2015.07.18
夜坐 (야좌) / 정관일선 (靜觀 一禪) 夜 坐 ( 야 좌 ) / 정관일선 (靜觀 一禪) 風淸月白夜塘寒 청풍월백야당한 坐對孤燈意自閒 좌대고등의자한 一顆靈珠光粲爛 일과영주광찬란 更於何處問心安 갱어하처문심한 바람 맑고 달 밝은 밤 연못도 잠잠한데 외로운 등불 마주하니 의(意) 절로 한가롭네 한 알의 신령한 구슬 찬란하게 .. 선시(禪詩) 2015.07.18
手提無文印 / 無衣子 慧諶 (무의자 혜심) 予夢見大悲菩薩, 爲予曰,“ 予能正印否?” 予應應曰,“ 將印來.” 菩薩擧手作提勢, 通身放光 遍照天地. 遂步虛而徃, 予亦從之. 及覺乃作賛曰, 내가 꿈에 대비보살을 만났는데, 나를 위해 말씀하시기를, “그대는 정인(正印)을 감당할 수 있겠는가?” 물으시었다. 내가 화답하고 화.. 선시(禪詩) 2015.07.18
香嚴擊竹 향엄격죽 / 靑梅 印悟 香嚴擊竹 향엄격죽 / 靑梅 印悟 龍吟枯木猶生喜 용음고목유생희 髑髏生光識轉幽 촉루생광식전유 磊落一聲空粉碎 뢰락일성공분졸 月波千里放孤舟 월파천리방고단 고목에서 용이 울어야 오히려 기쁨이 생겨나고 해골에서 빛이 나니 식이 깊어지네. 큰 모양이 이뤄지는 한 소리에.. 선시(禪詩) 2015.07.18
규원(閨怨) / 이매창(李梅窓) 규 원 (閨 怨) / 이매창(李梅窓) 相思都在不言裡(상사도재불언리) 一夜心懷鬢半絲(일야심회빈반사) 欲知是妾相思苦(욕지시첩상사고) 須試金環減舊圓(수시금환감구원) 언제나 님 그리워해도 말로 표현 못하니 밤새 님 생각에 머리가 반이 세었습니다 소첩의 님 그리는 이 고통 아시려.. 명언 좋은글 2015.07.18
증화선백(贈華禪伯) / 浮休堂大師(부휴당대사) 증화선백(贈華禪伯) 화(華) 선백(禪伯)에게 드림 / 浮休堂大師(부휴당대사) 解脫非眞寶 해탈비진보 涅槃豈妙心 열반일묘심 電光追不及 전광추불급 兒輩謾勞尋 아배만노심 佛法無多字 불법무다자 忘言須會宗 망언수회종 頂門開活眼 정문개활안 魔外自歸降 마외자귀항 해탈은 진짜 .. 선시(禪詩) 2015.07.18
축탄 스님을 보내며(送竺坦師) / 환성지안 (換醒志安) 축탄 스님을 보내며(送竺坦師) / 환성지안 (換醒志安) 廓然繩墨外 확연승묵외 不落有無機 불락유무기 打破虛空界 타파허공계 大千信步歸 대천신보귀 깨달음의 세계는 넓고 텅 비었으니 유무의 틀에 떨어지지 마세요 허공계를 때려 깨뜨려버리시어 대천세계 오고감을 마음대로 하세요 * .. 선시(禪詩) 201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