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60

詠月 영월 / 淸虛休靜(청허휴정)

詠月 영월 / 淸虛休靜(청허휴정) 月出靑天面 월출청천면 誰當問古今 수당문고금 盈虛知進退 영허지진퇴 顯晦學昇沉 현회학승침 幾入詩人句 기인시인구 還傷遠客心 환상원객심 山僧都不管 산승도부관 高臥聽松琴 고와청송금 °달을 읊다 푸른 하늘 얼굴에서 드러난 달에게 누군가 고금(의 처세술)을 묻는다면 (달이) 찼다가 이지러 비는 것을 통하여 머물러 있음과 물러남을 알아야 하며 (달의) 드러남과 감추고를 통하여 (인생의) 오르고 잠김을 배우라고 (답하겠지) 몇 사람의 시인이 글귀(로 이를 읊었나) 먼 곳에서 온 손님은 마음이 상해서 돌아왔다 (하는데) 산승은 도읍 (일에) 모두 관계하지 않으므로 높이 누워 (솔바람이 내는) 솔거문고 (소리) 듣는다네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古今 고금 옛날과 지금..

선시(禪詩) 2022.08.30

示性雲長老 시성운장로 / 淸虛休靜(청허휴정)

示性雲長老 시성운장로 / 淸虛休靜(청허휴정) 聲前相見了 성전상견료 何必望州亭 하필망주정 一笑無言處 일소무언처 天邊列嶽靑 천변열악청 °성운 장로에게 보이다 소리로 말하기 전에 서로 만나 봄을 끝마쳤는데 무슨 필요가 있어서 망주정을 (이야기 하는가?) 한번 웃고 말이 없는 곳 하늘 가에 늘어선 산이 푸르구나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聲 소리 성 1. 소리 8. 말하다. 소리치다. ■ 相見 상견 서로 만나 봄 °누구와 누가 서로 만나 봄? 1. 청허(淸虛)와 성운(性雲)이 서로 만나 봄 2. 청허(淸虛)와 진리(眞理)인 불성(佛性)이 서로 만나 봄 ~ 청허(淸虛)가 자성(自性)을 밝혀서 자등명(自燈明)함 3. 자등명한 진리(眞理)의 화신(化身)인 청허(淸虛)를 만남으로 진리(眞理)인 불..

寄玄禪子 기현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寄玄禪子 기현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翰墨日疎身日遠 한묵일소신일원 靑藜無復訪柴扉 청려무복방시비 嵒扄雲幌雖牢鐍 암상운황수뇌휼 天際寧無一鴈飛 천제녕무일안비 °현 선자에게 부치다 편지는 날로 드물어지고 몸도 날로 멀어져서인지 지팡이 짚고 사립문 다시 찾아오지 않고 있구나 바위가 문(門)의 귀요 구름으로 덮개한 비록 걸쇠(채워진) (짐승)우리(같은데 지내고 있다 하더라도) 하늘의 끝에서 날아서 문안오는 기러기 한마리도 없구나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이 게송은 역설적 내용의 게송으로 보입니다 많이 보고싶다는 표현을 이렇게도 할 수 있구나 명리(名利)를 초탈하여 세속적으론 빈곤한 구도자 생활을 하고있는 현선자의 옳곧은 모습이 엿보입니다 문자 그대로의 모습의 인물이라면 선사님께서 이런 인물의..

선시(禪詩) 2022.08.28

天玉禪子 천옥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天玉禪子 천옥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晝來一椀茶 주래일완차 夜來一場睡 야래일장수 靑山與白雲 청산여백운 共說無生事 공설무생사 낮 오면 한 주발의 차 밤 오면 한바탕의 잠 청산(주인)과 백운(손님)이 더블어 무생의 일을 함께 얘기하네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靑山 청산 푸른 산 [불교 ] 선원에서, 주인의 자리를 알게 하기 위하여 큰방 아랫목 벽에 써 붙인 문자(文字). 靑山(청산)은 움직임이 없으므로 그 사찰의 주인 ~ 여기에선 이 게송 작자인 淸虛堂(청허당) ■ 白雲 백운 흰 구름 [불교 ] 절의 큰방 윗목 벽에 써 붙여서 손님의 자리를 알게 하는 문자.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白雲(백운)은 오고 가니 그 사찰을 방문한 손님 ~ 이 게송에선 天玉禪子(천옥선자)

선시(禪詩) 2022.08.27

智異山雙谿寺重創記(中) 지리산 쌍계사 중창기(중) / 淸虛休靜(청허휴정)

智異山雙谿寺重創記(中) 지리산 쌍계사 중창기(중) / 淸虛休靜(청허휴정) 古之洞精儒釋。 愽達內外者。 脫履功名。 一瓢忘貧。 與天地並立。 與神明同徃。 或與無位眞人爲之遊。 或與無始終者爲之友。 不得已而後應之。 則育萬物和天下。 以隻手。 能致君於堯舜之上。 視之猶如反掌焉。 自憂其憂。 自樂其樂。 奚暇非儒非佛。 非佛非儒。 相讎而相非乎。 옛날에 유불儒佛에 명료하게 통달하고 내외를 크게 통한 사람은 공명을 (헌)신발처럼 벗어 던지고 하나의 표주박으로 빈곤을 잊었다. 천지와 더불어 나란히 서고, 신명神明과 더불어 가면서 늘 무위진인無位眞人과 더블어 노닐고, 늘 시종始終이 없는 자와 더블어 벗을 하였다. 부득이하여 뒤 늦게 승낙하여 (도량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곧 만물을 육성하고 천하를 조화롭게 하였으며, 한 손을 가지..

수행 관계글 2022.08.26

無位 무위 / 淸虛休靜(청허휴정)

無位 무위 / 淸虛休靜(청허휴정) 巍巍落落子 외외낙락자 澗舌山爲身 간설산위신 漏洩毗盧偈 누설비로게 流通是石人 유통시석인 衆生以爲身 중생이위신 諸佛以爲骨 제불이위골 天地以爲喉 천지이위후 呑吐風與月 탄토풍여월 °차별(差別) 없는 자리 외외하고 낙락한 스승이시어! 산골물을 혀 (삼으시고) 산을 몸 삼으시어 비로자나부처님의 게송을 누설하시어 이 석인(수행자)에게 전하시어 깨닫게 하셨군요 중생으로써 몸을 삼고 여러 부처님을 뼈로 삼고 천지를 목구멍 삼아 바람과 달을 삼키고 토하고 있나니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1수(首)는 작자가 깨달음을 얻은 과정을 2수(首)는 작자가 깨달음 얻은 후 차별(差別)이 없는 자리에 있는 작자의 내적 자긍심의 표현이다 ■ 無位 무위 차별(差別)이 없는 자리 ■ 巍..

카테고리 없음 2022.08.24

眄柯亭 면가정 / 鏡虛惺牛(경허성우)

眄柯亭 면가정 / 鏡虛惺牛(경허성우) 志在江湖亦一生 지재강호역일생 眄柯亭好是風情 면가정호시풍정 暮山含雨連簷碧 모산함우연첨벽 小草留花上檻明 소초유화상함명 數樽市酒能爲國 수준시주능위국 千里鄕愁未敢城 천리향수미감성 荒塞聯襟多雅士 황새련금다아사 春風中坐又金聲 춘풍중좌우금성 °면가정 강호에 뜻 두고 (사는 일) 또한 한세상인데 면가정은 풍치가 있는 정회가 좋구나 비 머금은 저무는 산은 처마와 이어져 푸르고 꽃 피우지 않고 기다리는 작은 풀은 난간 위에서 밝고 환하구나 저자 주막에서 몇 술통 나라를 생각하며 할 수 있지만 천리 고향 그리는 마음을 감히 나라 지키는 군인은 내지 않는다네 황량한 변방에 마음 이어진 풍류객 많으니 춘풍 속에 앉아서 또 아름답고 뛰어난 문장(을 짓노라)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

카테고리 없음 2022.08.21

贈德義禪子 증덕의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贈德義禪子 증덕의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吾家有寶燭 오가유보촉 可咲西來燈 가소서래등 半夜黃梅信 반야황매신 虛傳粥飰僧 허전죽반승 °덕의선자에게 주다 우리 집안에 보배로운 등불 있는데 우습게도 서쪽에서 온 등불이라네 깊은 밤 황매가 (육조 혜능에게 전해준) 신표가 죽반승에게 마음으로 전해졌구나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家 집 가 1. 집 4. 집안 5. 문벌(門閥) 9. 학파(學派) ● 燭 촛불 촉 1. 촛불 2. 등불 3. 달빛이 밝은 모양 °어떤 등불 수행을 하여 자성(自性)을 밝혀 자등명(自燈明)한 등불 ■ 黃梅 황매 = 황매선사[黃梅禪師] 황매선사는 홍인(弘忍)을 말하는데, 선종(禪宗) 제5조(祖)이다. 제4조 도신(道信)에게 심인(心印)을 전해 받았고 제6조 혜능(慧能)을..

선시(禪詩) 2022.08.15

南溟夜泊 남명야박 / 淸虛休靜(청허휴정)

南溟夜泊 남명야박 / 淸虛休靜(청허휴정) 海通天地外 해통천지외 誰與問前津 수여문전진 紅雲碧浪上 홍운벽랑상 笑語十洲人 소어십주인 月落夜猶白 월락야유백 舟中有釋迦 주중유석가 廓然天不盡 확연천불진 靑海動星河 청해동성하 月出琉璃國 월출유리국 人稀白玉京 인희백옥경 天顔應只尺 천안응지척 回首五雲生 회수오운생 海躍銀山裂 해익은산열 風停碧玉流 풍정벽옥류 舡如天上屋 선여천사옥 星月坐中收 성월좌중수 °남쪽바다(위 배에서) 밤에 묶으며 바다가 천지 밖으로 통했는데 누구와 더블어 앞에있는 나루터 물어보니 붉은 구름 푸른 물결 위에서 십주의 사람이 웃으며 설명하네 달이 졌어도 오히려 밤이 밝은 것은 배 안에 석가가 계심이로다 넓고 텅빈 모양의 하늘은 다함이 없고 푸른 바다(물결에)에 은하수도 흔들리네 달은 유리국에 떠올랐으나 ..

선시(禪詩) 2022.08.14

夏日咏懷 하일영회 / 淸虛休靜(청허휴정)

夏日咏懷 하일영회 / 淸虛休靜(청허휴정) 月出天如海 월출천여해 風淸葉似秋 풍청엽사추 山中碧眼客 산중벽안객 高枕笑韓歐 고침소한구 雲藏九淵洞 운장구연동 松密四時天 송밀사시천 子規啼白晝 자규제백주 人臥古嵒邊 인와고암변 °여름날 회포를 시가로 읆다 달이 뜬 하늘은 바다와 같고 맑은 바람에 (흔들리고 있는) 나뭇잎은 세월(에 흔들리고 있는 나) 같구나 산속에서 눈 푸른 나그네(깨달음 얻은 이)는 근심 걱정없이 살아가며 한구를 비웃노라 구름은 구연동을 감추고있고 소나무는 사시사철 하늘에 빽빽하구나 두견이 우는 백주 대낮에 사람은 오랜 바위 가에 누워 있다네 * 解譯(해역) : 鏡惺 聖眞 (경성 성진) ● 秋 가을 추 1. 가을 2. 때, 시기(時期) 3. 세월(歲月) ■ 風淸葉似秋 풍청엽사추 맑은 바람에 (흔들리고..

선시(禪詩) 2022.07.26